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디지털 노마드 시대, 해외 소득도 세금 내야 할까요?

by 경제쌓기 2025. 4. 19.

온라인으로 일하고, 전 세계 어디에서든 수익을 벌어들이는 시대.
바로 디지털 노마드의 시대입니다.
그런데 이때 꼭 짚고 넘어가야 할 한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해외 소득도 세금 신고 대상인가요?” 하는 문제입니다.

오늘은 프리랜서, 크리에이터, 재택근무자들이 꼭 알아야 할
해외 소득과 세금의 기준에 대해 정리해드립니다.


1️⃣ 해외 소득도 신고 대상입니다

기본 원칙은 간단합니다.
대한민국에 ‘거주자’로 분류되는 사람은 전 세계에서 얻은 소득 전체에 대해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즉,

  • 유튜브, 쇼피, 해외 광고 플랫폼에서 받은 수익
  • 해외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용역비
  • 해외 플랫폼(예: Upwork, Fiverr)에서 받은 수익
    모두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2️⃣ '거주자' 기준은?

국세청 기준에서 거주자는 아래 조건 중 하나에 해당되면 됩니다:

  • 국내에 주소를 두고 있거나
  • 1년 중 183일 이상 한국에 거주한 경우

만약 해외에 오래 체류하고 있다면 비거주자 판단이 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해외소득에 대해 한국에서 세금을 납부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디지털 노마드들은 여전히 한국에 주소를 두고 있기 때문에,
거주자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이중과세 방지 조약 (DTA) 알아두기

만약 이미 해외 현지에서 세금을 냈다면,
한국에서 이중으로 과세되지 않도록 공제나 면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이중과세방지협정(DTA)’**이라 부르며,
대한민국은 현재 90개 이상의 국가와 이 협정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 예시: 미국에서 유튜브 수익에 대해 세금을 냈다면, 한국에선 일정 금액을 공제 받을 수 있어요.


4️⃣ 해외소득 신고, 어떻게 하나요?

일반적으로는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
해외에서 발생한 수익도 기타소득 혹은 사업소득으로 포함시켜야 합니다.

  • 소득 자료: 해외 입금 내역, 정산서, 인보이스 등
  • 외화로 수령한 경우, 환율 환산 기준에 따라 원화로 환산해 신고
  • 관련 증빙을 꼭 보관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5️⃣ 신고하지 않으면?

해외 소득 미신고 시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며,
국세청에서 외화 입출금 기록이나 해외 정산자료 추적이 가능하므로
“몰랐다”는 이유로 넘어가긴 어렵습니다.


마무리하며

디지털 노마드로 자유롭게 일하는 시대.
하지만 소득 신고의 책임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정확히 알고, 필요한 경우 세무사 상담을 통해 합법적으로 절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외에서 번 돈도, 결국은 내가 책임지는 소득입니다.
올해 종합소득세 신고에는, 꼭 해외소득도 체크해보세요.